최근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한 OPEN AI에서 출시한 GHAT GPT의 인기가 높아진 가운데 구글과 중국에서도 생성 AI(인공지능) 출시를 예고하였습니다. 반도체 산업에 훈풍이 예상되는 가운데 충분히 조정을 받은 국내 반도체 주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3년 반도체 유망종목 원인 QNC 기업분석 투자아이디어 대해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1. 원익 QNC 기업분석
[원익 QNC 기업분석 내용]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쿼츠(석영제품)과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회사로 사업은 크게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등 4개 부분으로 나뉩니다
매출 구성의 세부 항목은 쿼츠 부분이 약 83%, 세정이 약 12% , 세라믹, 세정 등이 5% 정도로 대부분 쿼츠웨어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미세화 공정이 중요해지고 있어 증착, 식각 공정에 비중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공정에 소요되는 소모품으로 보통 교체 주기는 1개월 ~ 36개월 정도로 부품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최근 신규 생산라인이 증대되고 반도체 회사에서 투자가 계획되어 있는 만큼 앞으로 쿼츠웨어의 수요는 크게 증대될 예정입니다.
**쿼츠웨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산화, 확산, 식각, 이온주입, 화학 증착 공정에서 웨이퍼를 불순물이나 충격에 보호하는 용기에 사용하는 제품
반도체 미세화 공정이 진행 됨에 따라 부품의 교체 주기는 약 30일 → 15일. 부품의 필요량은 약 2.5배 증가할 정도로 가혹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원익 QNC에게 매우 유리한 환경이 조성됨
[원익 QNC 주요 고객사]
원익 QNC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과 같은 종합반도체 파운드리 생산업체 등이 있고 이외에도 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로닉 등과 같은 장비업체도 있습니다.
2. 원익 QNC 기업분석 투자아이디어
①삼성전자, TSMC 등의 모멘텀 쿼츠산업 순항
쿼츠웨어 부품은 산화, 확산, 식각, 이온주입,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필수 소재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소모성 재료라는 것입니다. 고객사의 반도체 생산 라인에 꾸준히 공급되고 있으며 보통 교체 주기는 1 ~ 36개월로 다양합니다.
확산 공정의 경우 보통 6개월의 주기를 가지게 되는데 미세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식각 공정은 1개월의 교체 주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반도체 미세화 공정을 위해 2030년까지 투자계획을 밝히고 있는 만큼 원익 QNC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②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로닉 등 장비업체 매출 호조
2019년 램리서치의 신규장비가 종합반도체 회사의 생산라인에 설치되면서 이와 연계된 원인 QNC 쿼츠웨어 제품의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는데요. 이후 지속적으로 증대하기 시작하면서 매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주목할 것은 램 리서치의 차세대 장비가 23년 상반기 차세대 장비 출시가 되면서 향후 2~3년간 매출의 확대가 증대할 전망입니다.
③자회사 모멘티브 실적성장과 인수기업 시너지 효과
모멘티브는 미국의 쿼츠/실리콘 원재료 제조업체로 2020년 인수를 한 원익 QNC자회사입니다. 적자였던 회사가 21년 흑자를 달성한 이후 안정적인 매출진입에 성공하였습니다. 원재료 상승 분이 판가에 잘 반영되었고 쿼츠의 원재료 수주 잔고가 증가해 2023년 실적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원익 QNC는 2022년 10월 일본의 Coors Tek 인수에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반도체 웨이퍼 제조 시 필요한 석영도가니 제조 업체로 모멘티브의 경우 200mm 웨이퍼 제조에만 대응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Coors Tek의 경우 300mm 웨이퍼 제도에 대응이 가능해 새로운 사업모델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3. 원익 QNC 실적전망
한화증권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2023년 영업이익 실적 전망치는 약 1,412억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년비 대비 약 10% 상승한 것으로 쿼츠웨어, 원재료 모두 고객사의 주문량(Q)과 판가(P)가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쿼츠의 겨우 주요 고객사의 신규라인이 가동되며 Q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쿼츠 원재료의 경우 수준잔고도 확정되어 있어 실적 상승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원익 QNC는 2021년 sk하이닉스, 삼성전자의 실적 최고점을 찍은 이후에도 지속적인 실적 성장을 달성했는데 이는 TSMC 등 비메모리 쪽 사업의 다변화와 다양한 장비업체와 연계하여 성장을 지속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쿼츠 원재료 업체를 인수하며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목표가격]
23년 주당 순이익(EPS) 평균 컨센서는 3,576로 증권사별 멀티플은 10 ~ 12 배 정도 적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목표주가의 범위는 36,000 ~ 40,000원으로 개별 사업의 실적과 per, pbr 등 역대 주가 범위를 확인하여 충분히 공부를 한 뒤 성장성을 평가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2023년 반도체 유망종목 원익 QNC 기업분석 투자아이디어를 공유해 드렸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