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필요한 정보

공무원 성과급 지급 기준 핵심 내용만 파악하세요(2024년)

by 초록바다(미다) 2024. 2. 12.

공무원 수당 주 가장 큰 범위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공무원 성과상여금인데요. 많은 분들이 성과급 산정 기준에 대해서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이번 시간에는 공무원 성과급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드릴 테니 혹시라도 금액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썸네일
공무원 성과급 지급기준

 

공무원 성과급 기준

 

1) 공무원 성과급 지급대상

 

공무원 성과급 지급 대상은 ① 일반직 공무원(임기제 공무원 제외) ② 별정직 공무원 ③ 교육공무원 중 교육전문 직원입니다. 특히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 대상 공무원이나 정무직 공무원의 경우 지급대상이 아니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과급 지급대상
성과급 지급대상

  

우선 성과급을 받기 위해서는 성과상여금 지급기준일 현재 해당 소속 기관에 근무하고 있어야 하며 이때 평가대상기간 중 퇴직한 공무원도 지급대상에 포함됩니다.

 

지급기준일(12월 31일)에 따라 파견 중인 공무원과 휴직(군입대는 별도), 직위해제 및 기타 사유로 직무에 종사하지 않는 공무원도 상여금 지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진급한 경우 성과급 산정 방법]

만약 지급기준일 기준(12월 31일)으로 승진 임용 후 2개월이 지난 경우 진급한 직위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성과상여금 지급제외]

성과급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지급기준일 기준으로 최소 2개월 이상 근무를 하셔야 합니다. 특히 휴직자 분들의 경우 근무일자를 반드시 확인하셔야 하는데요.  **휴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2개월 이상 근무를 하셔야 하고, **복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적어도 10월 중에는 복귀를 하셔야 합니다. 

 

단) 실제 근무한 기간은 휴가(연가, 공가, 병가 등), 휴직, 교육파견, 공휴일, 토요일 등은 제외가 되는 만큼 되도록 복귀를 할 때에는 10월쯤에 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2) 지급시기

성과급 지급은 해당 기관의 업무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어요. 지침에 따라 평가 및 지급 횟수는 연 1회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만큼 분할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어요. (ex. 연 12회)

 

보통은 지급 등급이 결정되면 일시금을 원칙으로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장은 필요할 경우 소속 직원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월별로 분할 지급이 가능해요

 

일반적으로 연 1회 지급하는 경우 공무원 성과급 지급시기는 대략 3 ~ 4월 중 지급이 모두 완료됩니다.

 

 

공무원 성과급 지급 내용

 

1)  공무원 성과급 지급등급

 

공무원 성과급 지급 등급과 지급률은 아래의 자료와 같다

지급등급
(인원비율)
S등급
(상위 20%)
A등급
(상위 20% ~ 60%)
B등급
(상위 60% ~ 90%이내)
C등급
(하위 10%)
지급률
(지급 기준액 기준)
172.5% 이내 125% 85% 0%

 

기준 지급률을 기준으로 지방자치단체 장은 의회 등의 협의를 통해 해당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인원의 경우 15% 범위에서 지급률의 경우 20% 이내에서 조정이 가능합니다.

 

 

최근 지자체별 지급률의 경우 S등급을 축소하고 A등급과 B등급의 지급률을 상향하여 공무원 성과급 지급률 자체를 평준화하고 있습니다.

 

표준평균지급률은 관련 규정에 따라 110% 결정하도록 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공무원 성과급 지급액 결정

공무원 성과급 지급은 지급률과 지급 등급을 이용하여 평균 지급률을 계산하고 조정지급기준액을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좀 더 쉽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표에 따라 지급등급과 지급률이 결정되면 평균지급률을 계산하계 되는데요. 아래의 예시를 참고해 보세요.

 

① 평균지급률 = S등급(0.25X172.5) + A등급(0.3X125) + B등급(0.4X85) = 114.625%

 

② 지급기준액 조정지수 = 표준평균지급률(110%)/ 평균지급률(114.625%) = 0.959.....

 

③ 조정지급기준액 계산 = 지급기준액 X 조정지수

계   급 지급기준액 조정지수 조정지급기준액
6급 3,810,000 0.959 3,656,270
7급 3,239,400 3,108,693
8급 2,690,900 2,582,324
9급 2,288,000 2,195,681

 

조정지급기준액이 결정되면 개인의 성과 등급에 따라 산정 비율은 곱하면 본인의 성과급이 결정됩니다. 

 

예) 7급 S등급이라면 = 조정지급기준액(3,108,693) XS등급(172.5%/100) = 5,362,495

 

 

지금까지 공무원 성과급 지급 기준 핵심내용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대부분 성과급심사위원회 등을 거쳐 3월에 등급이 결정되고 4월에 지급되는 구조인 만큼 본인의 예상금액을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재택부업 원고작성 알바 월140만원 버는 법(2편)

이번 내용은 재택부업 원고작성 알바 월140만원 버는법(2편)으로 원고작성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려 드리도록 할게요 1. 재택부업 원고작성 알바 글쓰기의 이해 목적과 형식에 따

bluebirds.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