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필요한 정보

실내 마스크 해제 달라지는 기준 3가지 완벽 정리

by 초록바다(미다) 2023. 1. 31.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3년만에 해제가 되었는데요. 하지만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곳도 있어 명확하게 구분을 해야 합니다. 이번에 달라지는 권고 기준을 3가지로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마스크착용의무 해제

 

 

목차

1.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대상 시설

2. 실내마스크 착용 권고 대상

3.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Q&A

 

1.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대상 시설

○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요양병원, 장애인복지시설, 장기요양기관)

○ 의료기관 및 약국

○ 학교 등원 및 학원 등원 차량

○ 대중교통수단 "실내"

 

** 여기서 실내란?

- 버스,택시,기차,항공기 등 공공이 사용하는 운송수단이 사방이 구획되어서 외부와 분리된 구조물을 뜻함

예시) 천장과 지붕이 설치되어 사방이 막힌 경우 실내, 2면 이상 열려져 있어 자연환기가 진행되는 곳은 실외로 간주

 

** 부과되는 과태료 금액

- 감염병예방법 제49조에 따라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 됩니다.

 

밀접한 공간에서 기침장면
기침 등 비말

 

2. 실내마스크 착용 권고 대상

○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한 경우

○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 후 2주간 착용 권고)

○ 환기가 어려운 밀집, 밀폐, 밀접 실내 환경에 있을 떄

○ 다수가 모여 있는 장소에서 비말 생성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 밀접, 밀집 환경이란 다른 사람과 1m 이상 물리적 거리 유지가 어려운 경우

 

실내마스크 착용 예시
실내마스크 착용

 

3.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Q&A

1) 수영장, 목욕탕, 사우나 실내마스크 착용여부

- 일반적으로 수영장, 목욕탕, 사우나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는 없지만 마스크 착용 의무 대상구역에 이러한 시설이 있다면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합니다.(단, 탕, 샤워실, 발한실 제외)

 

2) 핼스장에서 운동할 경우 실내마스크 착용여부

- 일반적인 헬스장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집니다. 

 

지금까지 핵심적인 내용만 정리해서 알려드렸는데 완벽하게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것이 아닌 만큼 자율적으로 코로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