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필요한 정보

2023 설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기간(feat. 명절 당직병원 찾기)

by 초록바다(미다) 2023. 1. 17.

정부에서 " 설 연휴 특별교통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도 설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가 확정되었는데요. 설 연휴 정부에서 추진 중인 다양한 정책과 함께 명절 당직병원 찾는 방법 까지 한꺼번에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설연휴고속도로통행료면제

 

 

1. 2023년 설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대체공휴일로 지정된 이번 설 명절은 코로나 거리두기 해제 이후 2번째 명절로 많은 귀성행렬이 예상됩니다. 귀성객들의 교통비용 부담을 완화 하고자 설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를 결정하였습니다.

 

설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기간 : 1월 21일(토)  ~  1월 24일(화), 총 4일간

** 이 기간 사이 고속도로에 있는 차량 모두 설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귀성객 인원은 총 2648만명으로 하루 평균 530만명 가량 이동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차량 혼잡 기간 

 

** 귀성 21일(토) 오전

** 귀경 23일(월) 오후

 

○ 고속도로 최대 소요시간

 

1) 귀성

** 서울 ~ 대전 : 5시간

** 서울 ~ 부산 : 8시간 40분

** 서울 ~ 광주 : 7시간 40분

** 서울 ~ 목포 : 8시간 30분

** 서울 ~ 강릉 : 5시간 20분

 

2) 귀경

** 대전 ~ 서울 : 4시간 15분

** 부산 ~ 서울 : 8시간 15분

** 광주 ~ 서울 : 6시간 35분

** 목포 ~ 서울 : 6시간 55분

** 강릉 ~ 서울 : 4시간 30분

 

2. 공휴일, 설연휴, 명절 등 연휴 기간 당직병원 찾기 

각 지자체별 연휴기간 동안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당직 의료기관 휴일지킴이 약국을 운영합니다.  이번 설명절의 경우에도 일반 환자의 의료공백을 최소화 하고자 시행을 하게 되는데요.

 

갑작스럽게 병원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답답할 수 있는데 이럴 땐 간단한 방법으로 인근 의료기관을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응급의료포털 E-GEN ≫

 

○ 응급의료포털 E-GEN 사이트 접속 (www.e-gen.or.kr)

 

상단 배너에서 병원, 약국 ≫ 병원찾기 ≫ 지도 ≫ 주소검색 등을 통해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곳 근처 당직약국과 병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운영시간과 주소, 연락처 등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당직병원과 약국의 경우 홈페이지에 제공된 정보화 다를 수 있어 꼭 연락후 방문할 것을 추천 드려요

 

응급의료포털

 

≪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

 

설연휴 비상진료체계가 가동되고 있는 만큼 인터넷을 이용하기 힘든 경우라면 당번 약국, 병원 등은 119로 전화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차체 홈페이지, 당직센터 ≫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각 지역에서 운영 예정인 당직병원과 약국에 대한 정보가 개제될 예정입니다. 팝업창을 통해 확인하면 자료를 다운 받을 수 있으니 긴급한 경우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함께보기 좋은 정보 ≫

 

 

2023년 달라지는 자동차 세금 감면 혜택 (feat. 자동차 세금표)

2023년 올해 부터 자동차 세재 혜택이 대폭 변경됨에 따라 바뀌는 정책을 미리 확인하여 자동차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총 10가지 세제 혜택과 연납신청 등 자동차 세

bluebirds.co.kr

 

 

2023년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소상공인 지원금 신청 방법

대 내외적 경제 악화로 인해 자금 여력이 부족한 소상공인 분들을 위한 정책자금 융자가 계획이 확정되어 공지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 정리와 함께 신청시 유의사항 등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bluebirds.co.kr

 

 

2023년 주거급여 신청자격 완화 수급자 자격확인

저소득 층에 대한 정부의 촘촘한 지원 정책에 따라 23년 중위소득 기준 5.47% 인상됨에 따라 생계급여 기준이 상향되어 주거급여 신청자격 완화로 수급자가 확대되었으니 꼭 확인하여 혜택을 받

bluebirds.co.kr

 

댓글